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대화법 부모의 역할
우리 아이가 건강한 자존감을 가진 사람으로 자라길
바라는 것은 모든 부모의 공통된 마음입니다. 자존감이
높은 아이는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인정하고, 도전과
실패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주체적은 모습을 보일 수 있어요.
그렇다면 부모는 어떻게 대화하고 어떤 역할을
해야 하나요?

1.아이의 감정을 인정하는 대화하기
아이들은 하루에도 수많은 감정을 경험합니다.
기쁨, 슬픔, 분노, 좌절 등 다양한 감정을 느끼지만,
이를 표현하는 법을 배우지 못하면 감정을 억누르거나
부정적으로 표출할 수 있어요.
-"그랬구나, 속상했겠어."
-"지금 기분이 좋지 않구나. 엄마(아빠)가 도와줄 수 있을까?"
이처럼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는 말을 건네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부정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2.결과보다 과정에 집중하는 칭찬하기
자존감을 높이는 데 있어 칭찬은 필수 요소입니다.
하지만 결과만 칭찬하는 것은 아이의 자존감을 오히려
낮출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시험에서 100점을 맞았을때
"정말 똑똑하구나!"라고 칭찬하는 것 보다,
"열심히 노력해서 좋은 결과를 얻었네!"라고 말하면
아이는 노력의 가치를 더 중요하게 여기게 됩니다.
-"노력한 덕분에 성장했구나!"
-"어려운 문제를 포기하지 않고 해결해서 멋졌어!"
이러한 칭찬은 아이가 실패하더라도 좌절하지 않고
다시 도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3. 아이의 선택을 존종하는 대화하기
부모의 역할을 아이가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도와주는
것이지, 대신 선택해 주는 것이 아닙니다. 아이가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지는 경험을 할 때 자존감이 올라갑니다.
-"넌 어떤 선택을 하고 싶어?"
-"이렇게 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같이 이야기해볼까?"
이처럼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고 의견을 존중해 주면,
아이는 자신이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으며
스스로에 대한 신뢰감을 키울 수 있습니다.

4. 비교 대신 아이만의 장점 찾아주기
"oo는 이걸 잘하는데, 너는 왜 못하니?"라는 비교는
아이의 자존감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말입니다.
대신, 아이만의 장점을 찾아주고 스스로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너는 정말 창의적인 생각을 잘하는구나!"
-"네가 친구를 도와주는 모습이 참 따뜻해 보여."
작은 장점이라도 부모가 먼저 인정해 주면 아이는 자신의
가치를 더욱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됩니다.

5.부모의 역할 : 긍정적인 거울이 되어주기
부모는 아이가 자신을 바라보는 첫 번째 거울입니다.
아이 앞에서 부정적인 말을 자주 하거나, 자기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면 아이도 스스로를 부정적으로
바라볼 가능성이 커져요.
-"엄마(아빠)도 실수할 때가 있지만, 괜찮아.
다시 해보면 돼."
-"오늘 힘든 일이 있었지만, 그래도 최선을 다했어.
스스로를 칭찬해 줘야겠어!"
부모가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됩니다.

아이의 자존감은 부모의 말 한마디,
행동 하나로도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아이와의 대화에서 작은 변화를 시도해 보면
어떨까요?^^
'초등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학년이 되면 늘어나는 스마트폰 사용 부모의 대처법 (0) | 2025.03.28 |
---|---|
용돈 교육 시작하기 좋은 시기 2학년부터 경제 개념 가르치는 법 (0) | 2025.03.27 |
남자아이 여자아이 감정 표현 차이 & 지도법 (0) | 2025.03.24 |
초등 2학년 아이의 감정 조절 짜증, 화, 서운함 다루는 법 (0) | 2025.03.21 |
영어 교육 초2때부터 필요할까? 엄마표 영어 현실 조언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