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용돈 교육 시작하기 좋은 시기 

2학년부터 경제 개념 가르치는 법

 

부모라면 한 번쯤 "언제부터 아이에게 용돈을

줘야 할까?" 고민해 본 적인 있을 거예요

아이가 돈을 스스로 관리하고 가치 있게 사용할 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경제 교육의 첫걸음이죠

초등학교 2학년부터 용돈을 주며 경제 개념을

가르치는 것이 적절한 시기라고 볼 수 있는데요,

그 이유와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소개해 드릴게요

 

 

왜 2학년부터 용돈 교육을 시작할까요?

 

-수 개념이 어느 정도 자리 잡는 시기

초등학교 2학년이 되면 기본적인 덧셈과 뺄셈이

가능해지고, 숫자의 크기에 대한 개념도 명확해집니다.

돈을 계산하는 능력도 점차 발달하게 되죠.

 

-스스로 선택하는 경험이 필요할 때

이 시기의 아이들은 점점 독립적인 선택을 하려고 

합니다. 용돈을 통해 필요한 것과 원하는 것을 

구별하는 법을 배우고, 자기 결정 능력도

길러나갈 수 있어요

 

-돈의 가치에 대한 기초 개념 형성

"돈은 그냥 생기는 것이 아니라, 노력해서 얻어야

한다"는 개념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2학년부터 실천하는 용돈 교육 방법

 

1.용돈을 주는 기준 정하기

고정 용돈 vs 필요할 때 주기

-고정 용돈 : 매주 또는 매월 일정 금액을 지급해

예산을 관리하는 습관을 기르게 함.

-필요할 때 주기 : 특정 상황에서만 주고 소비의 

가치를 배울 수 있도록 유도함

*추천 : 처음에는 주 단위로 일정 금액을 지금하는

것이 좋아요. 금액은 2학년 기준으로 1,000원~

3,000원 정도가 적당합니다.

 

2. 용돈의 사용 목적 구체화하기

 

아이가 용돈을 어디에 사용할지 미리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저축하기 : 돼지 저그통이나 통장을 만들어 용돈의

일정 부분을 저축하는 습관을 들이기

-소비하기 : 학용품, 문구류, 작은 간식 등을 직접

구매하며 금액을 스스로 조절하게 하기

-기부하기 : 나눔의 가치를 배우게 하기 위해 일정

금액을 기부해보는 경험 제공

 

3.용돈 기입장 쓰기

용돈을 받는 것보다 관리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용돈 기입장 쓰기 습관을 들이면 좋은 점

-돈을 언제, 어디에, 얼마나 썼는지 스스로 파악 가능

-충동적인 소비를 줄이고 계획적인 소비 습관 형성

-저축과 소비의 균형을 맞추는 연습

->처음에는 간단한 그림이나 스티커를 활용한 용돈

기록장을 만들어 흥미를 유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예요

 

4.필요한 것 vs 원하는 것 구별하기

2학년 아이들은 사고 싶은 것이 많지만, 모든 것을

다 가질 수는 없다는 사실을 배워야합니다.

 

 

*질문을 던져보세요!

-이건 정말 필요한 거야, 아니면 그냥 갖고 싶은 거야?

-지금 사지 않고 조금 더 기다리면 더 좋은 걸 알 수

있지 않을까?

-네가 직접 돈을 모아서 사면 더 소중하게 생각하지

않을까?

이런 질문을 통해 아이가 스스로 돈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부모가 꼭 지켜야 할 원칙

 

-용돈을 보상 수단이 아님!

<집안일 하면 용돈 줄게!>같은 방식보다는 기본적인

경제 개념을 익히는 용도로 사용해야 합니다.

(단, 특별한 추가 과제에 대한 보상 개념으로 활용하는

것은 가능)

 

-무조건 부족하게 하지 않기!

너무 적은 용돈을 주면 경제 개념을 익히기 어렵고,

아이가 부모에게 더 의존할 수 있어요. 반대로 너무

많이 주면 소비 습관이 방만해질 수 있으니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용돈을 다 써도 추가 지금은 금지!

한 번 정한 용돈이 다 떨어졌다면, 더 이상 주지 마세요.

그렇게 해야 예산을 관리하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2학년은 용돈 교육을 시작하기 좋은 

시기이며, 단순히 돈을 주는 것이 아니라 관리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핵심입니다. 부모가 올바른 경제

개념을 심어주면 아이는 자연스럽게 돈을 현명하게

쓰는 법을 배우게 될 거예요

 

 

 

 

 

 

 

 

728x90
반응형